BMI계산기 - 전문 BMI 건강 분석기
세계보건기구(WHO) 기준에 따른 신체 질량 지수(BMI) 분석 및 맞춤형 건강 평가를 제공합니다.
WHO 기준
의학 데이터 기반
맞춤형 분석
BMI(체질량지수)란?
BMI(Body Mass Index)는 체중(kg)을 신장(m)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,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국제적인 지표입니다. 세계보건기구(WHO)에서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.
BMI 계산식
BMI = 체중(kg) ÷ [신장(m) × 신장(m)]
예) 키 170cm, 체중 65kg인 경우
BMI = 65 ÷ (1.7 × 1.7) = 22.5 kg/m²
BMI = 65 ÷ (1.7 × 1.7) = 22.5 kg/m²
BMI 분류 기준 (아시아-태평양 기준)
분류 | BMI 범위 (kg/m²) | 건강 위험도 |
---|---|---|
저체중 | < 18.5 | 영양 부족, 면역력 저하 위험 |
정상 | 18.5 - 22.9 | 낮음 |
과체중 | 23.0 - 24.9 | 경도 증가 |
1단계 비만 | 25.0 - 29.9 | 중등도 증가 |
2단계 비만 | 30.0 - 34.9 | 고도 증가 |
고도 비만 | ≥ 35.0 | 매우 높음 |
BMI 지표의 한계
- 근육량이 많은 경우(운동선수 등) 실제 체지방률이 낮더라도 BMI가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.
- 노인의 경우 근육량 감소로 인해 실제 비만도가 BMI에 정확히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- 임산부나 수유 중인 여성에게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.
- 신장이 매우 크거나 작은 경우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.
- 체지방의 분포(복부 비만 vs. 하체 비만)를 고려하지 않습니다.
BMI와 건강 위험도
BMI 수치에 따라 다양한 건강 문제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아래는 BMI 구간별 건강 위험 요소입니다.
저체중 (BMI < 18.5)
- 영양 부족
- 면역 기능 저하
- 빈혈
- 골다공증 위험 증가
- 생식 기능 저하
- 피로와 에너지 부족
정상 (BMI 18.5-22.9)
- 최적의 건강 상태
- 만성질환 위험 최소화
- 정상적인 대사 기능
- 건강한 면역 체계
- 적절한 에너지 수준
과체중 (BMI 23.0-24.9)
- 심혈관 질환 위험 경미 증가
- 제2형 당뇨병 위험 증가
- 고혈압 위험 증가
- 관절 통증 가능성
- 수면 무호흡증 위험 증가
비만 (BMI 25.0-34.9)
-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
- 제2형 당뇨병 위험 크게 증가
- 고혈압 및 고지혈증
- 관절염 및 관절 문제
- 수면 무호흡증
- 특정 암 위험 증가
- 비알코올성 지방간
고도 비만 (BMI ≥ 35.0)
- 심장마비 및 뇌졸중 위험 크게 증가
- 제2형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
- 심각한 호흡 문제
- 이동성 제한
- 다양한 암 위험 크게 증가
- 간질환 및 담낭 질환
- 생식 건강 문제
- 대사 증후군
건강한 체중 유지를 위한 조언
- 균형 잡힌 식단: 다양한 영양소를 포함한 식품을 적절한 양으로 섭취하세요.
- 규칙적인 운동: 주 5회, 30분 이상의 중강도 운동을 권장합니다.
- 수분 섭취: 하루 1.5-2리터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.
- 충분한 수면: 7-8시간의 양질의 수면이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.
- 스트레스 관리: 스트레스는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- 정기적인 건강 검진: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세요.
참고 자료
- 세계보건기구(WHO) 비만 분류 기준
- 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
- 국민건강영양조사(KNHANES) 자료
-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연구 자료